跋寫眞劉敏叔八君子圖(발사진류민숙팔군자도)/양만리(남송)-명시 감상 993
跋寫眞劉敏叔八君子圖(발사진류민숙팔군자도)
-류민숙의 진묵 팔군자 그림을 그리는 발문에 부치다
양만리(楊萬里/南宋)
一代一兩人(일대일량인) 한 시대에 인물은 몇 안 되는데
國已九鼎重(국이구정중) 나라는 벌써 구정을 귀중히 여겼네
如何八君子(여하팔군자) 여덟 군자는 어떠한가
一日集吾宋(일일집오송) 어느 날 우리 송나라에 모였네
古人三不朽(고인삼불후) 옛 사람은 삼불후를 말했는데
諸老一一中(제로일일중) 여러 늙은이 한분 한분이 들어맞지
久別忽相逢(구별홀상봉) 오래 헤어져 있다가 문득 만나니
相對恍如夢(상대황여몽) 서로가 꿈인 양 황홀해 하네
* 一兩: 한쌍(一雙), 소수(少數).
* 九鼎: 구룡신정(九龍神鼎). 하(夏)나라의 시조 우왕(禹王)이 만들었다고 하는 전설상의 아홉개의 솥(寶鼎). 정(鼎)은 발이 셋, 귀가 둘 달린 크고 귀한 솥을 뜻한다. 禹王은 순(舜) 임금의 명을 받들어 황하(黃河)의 치수(治水)에 성공한 뒤 천하를 아홉 개의 주(九州)로 나누었다. 九州는 형(荊)·양(梁)·옹(雍)·예(豫)·서(徐)·양(揚)·청(靑)·연(兗)·기(冀). 그리고 각 州의 특산 진상품(貢賦)을 정해주어 통치의 자원으로 삼게 하니 이것이 유명한 '우공구주`(禹貢九州)다. 이때 禹王의 성덕(聖德)에 감읍한 九州의 수장들이 각 州의 진귀한 금속을 모아 바쳤다. 禹王은 이를 재료로 아홉 개의 솥(鼎)을 제작해 대대로 왕위 전승의 보물(寶器)로 삼게 했다. 이후 鼎은 국통(國統)과 왕업(王業)의 권위를 대변하는 귀물(貴物)이 되었다. 九鼎은 夏나라를 거쳐 상(商)나라와 주(周)나라로 전승되었으며, 九鼎을 보유한다는 것은 천하를 다스리는 정통성을 갖추었음을 상징하게 되었다. 九鼎은 周나라 현왕(顯王) 때 팽성(彭城) 아래 사수(泗水)에 가라앉아 버렸다고 한다. 진시황(秦始皇)이 천하를 순행하던 중 彭城을 지나면서 사람들을 동원해 九鼎을 건져보려 했으나 찾지 못했다. 훗날 당(唐)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와 북송(北宋) 휘종(徽宗)이 九鼎을 만들기도 했다.
* 八君子: 원대(元代) 화가 유민숙(劉敏叔)의 <八君子圖>에는 北宋시기의 저명 인물 8명이 등장한다. 조한왕(趙韓王) 조보(趙普)ㆍ한위공(韓魏公) 한기(韓琦)ㆍ문로공(文潞公) 문언박(文彦博)ㆍ사마온공(司馬温公) 사마광(司馬光)ㆍ왕형공(王荆公) 왕안석(王安石)ㆍ육일선생(六一先生) 구양수(歐陽脩)ㆍ동파선생(東坡先生) 소식(蘇軾)ㆍ산곡선생(山谷先生) 황정견(黃庭堅). 위진(魏晉)시대 남다른 덕행과 재능으로 명망을 떨쳤던 8명의 명신(名臣)을 총칭하는 `위진팔군자`(魏晉八君子)도 있다. 가후(賈詡: 籌謀策算), 가규(賈逵: 忠誠勇敢), 장기(張旣: 民政才能), 정욱(程昱: 智勇雙全), 고옹(顧雍: 縝密持重), 왕혼(王渾: 風度氣量), 유담(劉惔: 看人能力), 유익(庾翼: 志向規略)이 그 들. 북송(北宋) 때 왕부(王溥)가 당(唐)나라의 법제와 국정에 대하여 서술한 100권짜리 책 ≪당회요(唐會要)≫에 나온다. 참고로 명나라 말기의 인물인 고헌성(顧憲成)ㆍ고윤성(顧允成)ㆍ고반룡(高攀龍)ㆍ안희범(安希范)ㆍ유원진(劉元珍)ㆍ 전일본(錢一本)ㆍ설부교(薛敷敎)ㆍ섭무재(葉茂才)를 八君子로 칭하기도 한다. 이들은 강소(江蘇)성 무석(無錫)의 동림서원(東林書院)에서 강학(講學)하였다 하여 `동림팔군자`(東林八君子)로도 불린다.
* 三不朽: 영원히 썩지 않는 세 가지, 즉 덕(立德)ㆍ공(立功)ㆍ말(立言)을 말한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나온다.
* 다음블로그 청경우독 해수 경해에서 인용 수정.(2021. 2. 5)
* 근현대 중국화가 진소매 ( 陳少梅 ) 의 < 구양영숙조상 ( 歐陽永叔造像 )> ( 紙本 , 133×31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