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명시 감상
惜春(석춘)/주숙진(남송)-명시 감상 1,204
한상철
2021. 5. 5. 07:03
惜春(석춘)
-애석한 봄
주숙진(朱淑眞/南宋)
連理枝頭花正開(연리지두화정개) 연리지 끝에 꽃 막 피어나고
妬花風雨苦相催(투화풍우고상최) 꽃을 강샘한 비바람은 괴롭게 서로 재촉하네
願敎靑帝長爲主(원교청제장위주) 바라건대 청제가 오래오래 주관하여
莫遣紛紛落翠苔(막견분분락취태) 푸른 이끼에 분분히 떨이지지 않게 하기를
- 朱淑眞: 남송(南宋) 시대 여류 문인. 일명 주숙진(朱淑珍)·주숙정(朱淑貞). 이청조(李淸照)와 함께 `송조쌍절`(宋朝雙絶)로 불린다.
- 連理枝: 뿌리가 다른 나뭇가지가 서로 엉켜 마치 하나의 나무처럼 자라는 현상. 드문 현상으로 남녀 사이 혹은 부부애가 진한 것을 상징한다. 예전에는 효성이 지극한 부모와 자식을 비유하기도 했다.
- 靑帝: 봄을 맡은 동쪽 신(東君).
- 莫遣: ∼하게 하지 말라. ∼로 내몰지 말라.
* 다음블로그 청경우독 무하유지향에서 인용 수정함.(2021. 5. 5)
현대 중국화가 장효언 ( 張曉彦 ) 의 < 연리지 ( 連理枝 )> 금가원광 ( 金卡圓光 ) ( 設色紙本 , 直徑 4 4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