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동은 가까이 둬야!
골동품을 깊숙이 감춰 두면 먼지만 쌓여 가치가 퇴색한다. 가까이 두고 감상하면서, 조상의 손때와 체취를 느껴야 한다.
2023. 2. 24(금) 새벽에 잠이 일찍 깨여, 먼지가 잔뜩 쌓인 포대화상 덕화요 자기를 찬 물로 씻으니 새 것처럼 곱다. 사진을 다시 찍고, 관련 한시 한 수를 올린다.
我有一布袋(아유일포대)-선시
포대화상/당
我有一布袋(아유일포대) 나에게 포대가 하나 있으니
虛空無罫碍(허공무가애) 허공처럼 걸림이 없어라
展開邊宇宙(전개변우주) 열어 펼치면 우주에 두루하고
入時觀自在(입시관자재) 오므려 들일 때도 관자재로움을 보노라
* 포대화상(布袋和尙, 생년 미상~917년?)는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 십국 시대까지 명주(현재 중국 저장성 닝보시)에 실재했다는 전설적인 불승이다. 흔히 수묵화의 좋은 소재로 여기며, 큰 포대를 멘 배불뚝이 승려의 모습으로 그린다. 일본에서도 칠복신 중, 하나로 추앙받고 있다. 본명은 계차(契此) 또는, 석(釋)자를 붙여 석계차(釋契此)라고 한다.(위키백과)
* 감상; 그는 미륵부처님의 화신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포대 하나로써 법을 설하고, 중생들에게 깨우침을 주는 매우 특별한 사람이다. 평생 동안 온 천지를 돌아다니면서 거지 행세를 하다가, 뒷날 중국 명주의 악림사에서 열반에 들었다고 전한다. 포대를 이야기 하면서, 내용은 자신의 정신세계를 의미하고 있다. 나에게 하나의 포대가 있다는 것은 무한 광대한 자신의 마음이다. 허공처럼 텅 비고 넓다. 걸릴 것이 없다. 이 우주에 꽉 차고도 남는다. 그래서 자유자재하게 드나 든다. 삶에 걸리는 것은 없다. 자신이 이미 저 드넓은 우주와 하나가 되었다. 유유자적하며 소요자재하다. 세상에 무엇이 있어서 그를 장애하겠는가? 대자유다. 툭 터진 무한의 삶이다.
* 다음블로그 경독재 한시감상에서 인용 수정.(2021. 8. 31)
* 포대화상. 덕화요(德化窯) 상아백(象牙白)으로 은은한 미색의 무광이다. 눈, 보조개, 턱 밑 주름이 매혹적이다. 중국 명대의 하조종(何朝宗) 제작으로 추정. 오른 쪽 하단부에 표주박과 이름 낙관이 찍혀 있음. 그는 가정제에서 만력제(대략 1620년 이전)까지 활약한 조소가(彫塑家)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