縣齋雪夜(현재설야)
-현재의 눈 오는 밤
최해(崔瀣, 1287~1340)/고려
三年竄逐病相仍(삼년찬축병상잉) 삼년의 귀양살이에 병까지 찾아오니
一室生涯轉似僧(일실생애전사승) 방 한 칸 살림이 중마냥 단촐하네
雪滿四山人不到(설만사산인부도) 사방 산은 눈이 가득 아무도 오지 않는데
海濤聲裏坐挑燈(해도성리좌도등) 파도 소리 속에 앉아 등불 심지 돋운다네 (번역 한상철)
竄逐(찬축) : 쫓겨나 숨어 삶. 귀양살이.
相仍(상잉) : 서로 인하다.轉(전) : 도리어.
四山(사산) : 사방을 둘러친 산.
海濤聲(해도성) : 파도 소리처럼 엄습해오는 겨울바람 소리.
挑燈(도등) : 등불 심지를 돋우다.
* 감상; 산간의 작은 오두막집에서 은둔생활을 하는 겨울밤의 풍경을 묘사해 놓은 시다. 작자는 고려 말의 문신 최해(崔瀣, 1287~1340)로 신라 최치원의 후손이다. 못난 늙은이라는 뜻의 '졸옹(拙翁)'이라는 호를 썼다. 성균관 출신으로 문과에 급제 벼슬에 나아가고, 34살 때는 연경에 가서 원나라의 과거에도 급제하여 벼슬을 잠시 하기도 하였다. 5개월 만에 귀국하여 성균관대사성이 되어 벼슬을 누렸으나, 말년에는 사자갑사(獅子岬寺)의 밭을 빌려 농사를 지으며, 학문에 몰두하고 저술에 힘썼다.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에 아부를 못하고, 때로는 남을 호되게 비판하여 파란을 겪으며, 출세에 지장을 받기도 했다.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雪裏寒梅(설리한매)/김종직(조선)-명시 감상 1,046 (0) | 2021.03.02 |
---|---|
春雪(춘설)/오인벽(당)-명시 감상 1,045 (0) | 2021.03.02 |
孀婦詞(상부사)/유몽인(조선)-명시 감상 1,043 (0) | 2021.03.02 |
東園玩菊(동원완국)/백거이(당)-명시 감상 1,042 (0) | 2021.03.01 |
八池池産大珠有五色蓮花(팔지지산대주유오색련화)/조수삼(조선)-명시 감상 1,041 (0) | 2021.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