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명시 감상

風竹(풍죽)/이익(조선)-명시 감상 1,131

한상철 2021. 4. 6. 15:45

風竹(풍죽)

-바람 이는 대나무

 

      이익/조선

王孫繪竹意還殊(왕손회죽의환수) 왕손이 대나무를 그린 뜻이 도리어 달라

偃葉橫柯衆態俱(언엽횡가중태구) 누운 잎새 휜 가지 여러 모습 다 갖췄네 

醉袖翩翻豪士舞(취수편번호사무) 취한 소매 너울너울 호걸이 춤을 추니

不因風雨廢歡娛(부인풍우폐환오) 흥겨움을  닫는 게 비바람 때문 만은 아니라네   (번역 한상철)

 

* 王孫; 조선 회화사에서 묵죽(墨竹)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탄은(灘隱) 이정(李霆, 1554~1626)이 허균에게 그려준 풍죽도를 말한다. 그는 세종대왕의 현손이다.

* 이익(李瀷, 1681~1763); 성호전집(星湖全集)6 난죽첩(蘭竹帖) 3()중 세 번째 시.

* 다음카페 통도사 반야암 오솔길 (지안스님) 영축산 님 '바람의 절정' 인용 수정.(2019. 7. 17)

 

* 이정(李霆), <풍죽(風竹)>. 간송미술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