次韻出省馬上有懷蔣穎叔(차운출성마상유회장영숙)-(二首其二)
-성 밖을 나가 말 위에서 생각이 있어 장영숙 글의 운을 빌리다
秦觀(진관/北宋)
制詔行聞降紫泥(제조행문강자니) 칙명 받드는 길에 조서 내렸다는 말을 듣고
簪花且醉玉東西(잠화차취옥동서) 꽃 꽂고 옥동서 술잔을 나누며 취했지
羌人誰謂多籌策(강인수위다주책) 강족에게 계책이 많다고 누가 말했나
止有黔驢技一蹄(지유검려기일제) 겉만 번지르르하고 실속이라곤 없는 것을
☞ 秦觀(진관/北宋), <次韻出省馬上有懷蔣穎叔(차운출성마상유회장영숙)> (二首其二)
- 制詔: 황제(천자)의 칙명(勅命)·칙서(勅書).
- 紫泥: 도자기의 검붉은 빛깔. 옛 사람들은 진흙으로 서신(書信)을 밀봉했다. 황제의 조서(詔書)는 대개 밀봉한 뒤 紫泥로 봉인(封印)했다. 紫泥라고 하면 강소(江蘇)성 의흥(宜興)에서 생산되는 자사(紫砂), 곧 의흥호(宜興壺)를 일컫기도 한다. 紫砂 또는 紫泥로 불리는 宜興壺는 특유의 도니(途泥)와 모래가 혼합된 도토로 만든다. 홍니(紅泥)·이피니(梨皮泥)·백니(白泥)·조니(鳥泥)·황니(黃泥) 등으로 된 의흥 특산의 흙을 원료로 쓴다.
- 簪花: 경회(慶會)나 축하연(祝賀宴) 때 남자의 머리에 꽂는 조화(造花).
- 玉東西: 술잔(酒杯) 이름.
- 羌人: 중국 사천(四川)성 일대에 살던 소수민족인 강족(羌族).
- 籌策: 산가지, 꾀, 타산. 획책하다, 예측하다, 짐작하다.
- 止有: 오직(겨우) ∼이 있을 뿐.
- 黔驢技: 黔驢之技. 직역하면 검주(黔州, 현재 貴州)에 사는 당나귀의 재주라는 뜻. 겉치레뿐이고 실속이 없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보잘 것 없는 기량을 들켜 비웃음을 산다는 말로도 쓴다. 당대 관리이자 문인인 유종원(柳宗元)의 우화(寓話) ≪삼계(三戒)≫(三篇)의 두 번째 글인 <검지려(黔之驢)>에 나온다.
* 다음블로그 청경우독 기무일준주에서 인용 수정.(2022. 7. 7)
* 시제는 해석이 없어 필자가 풀이하다.
* 청대 ( 淸代 ) 개기 ( 改琦 ) 의 < 잠화도 ( 簪花圖 )> (1819 年作 , 設色絹本 , 191×89cm)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舟中讀元九詩(주중독원구시)/백거이(당)-명시 감상 1,864 (0) | 2022.07.08 |
---|---|
用韋蘇州寄全椒道士韻贈羅浮道士(용위소주기전초도사운증라부도사)/소과(북송)-명시 감상 1,863 (0) | 2022.07.08 |
鶴(학)/백거이(당)-명시 감상 1,861 (0) | 2022.07.07 |
題霞鶩亭(제하목정)/이덕형(조선)-명시 감상 1,860 (0) | 2022.07.07 |
訪李鰲峰別駕於西台遍觀勝景樂而有作(방리오봉별가어서태편관승경락이유작)/담약수(명)-명시 감상1,859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