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院雜興(도원잡흥)-四首其四
육유(陸游/南宋)
龜堂有叟富神通(구당유수부신통) 구당에 늙은이 있어 신통이 가멸찬데
白髮何妨兩頰紅(백발하방량협홍) 흰 머리가 붉은 두 뺨과 무슨 상관이람
先取山川來掌上(선취산천래장상) 먼저 산천을 취해 손바닥에 가져다 놓고
却移天地入壺中(각이천지입호중) 도리어 하늘땅을 옮겨 병 속으로 들어가네
鶯花不老非塵世(앵화불로비진세) 꾀꼬리와 봄꽃이 늙지 않으니 속세가 아니요
風月常新奪化工(풍월상신탈화공) 풍월이 늘 새로우니 하늘의 조화 빼앗음이네
近作東籬君未見(근작동리군미견) 근래 농장을 일궜는데 그대 아직 보지 못했으니
一尊少住莫匆匆(일존소주막총총) 한 자리에 잠시 머물며 황망해 하지 마시라
- 風月常新: 風月常新이라는 말과 관련한 흥미로운 얘기가 전해온다. 당현종(唐玄宗)의 후궁전에는 4만 명에 달하는 궁녀가 있었다고 한다. 그들 가운데 한 사람과 하룻밤을 같이 보낸다 한들 일일이 기억할 수 없다. 그래서 기발한 방법을 고안해냈다. 일단 한 번이라도 잠자리를 같이 한 여인은 팔에 도장을 찍는 것이었다. 그 도장에 새겨진 글자가 風月常新이었다고 한다. 그에게 여인은 한갓 풍류의 대상이었던 것일까. 아무튼 이 도장은 계수나무 기름으로 만든 인주를 묻혀 찍었기 때문에 물로 씻어도 지워지지 않았다고 한다. 당말오대(唐末五代) 때의 시인 장필(張泌)이 쓴 ≪장루기(粧樓記)≫에 나온다.
- 化工: 하늘의 조화(天工). 하늘의 조화로 자연히 이루어진 묘한 재주.
- 東籬: 원포(園圃), 농원(農園), 농장(農莊).
- 少住: 잠시 머묾(暫留).
- 匆匆: 분주한 모양. 황급한 모양.
* 다음블로그 청경우독 완이락지에서 인용 수정(2020. 11. 18)
* 북송 ( 北宋 ) 대완 ( 戴琬 ) 의 < 동리가색책 ( 東籬佳色冊 )> 책엽 ( 冊頁 ) ( 絹本 , 31×36cm×12)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方廣佛華嚴經(대방광불화엄경)/우음수성유-명시 감상 845 (0) | 2020.11.20 |
---|---|
蘆雁(로안)/인주(명)-명시 감상 844 (0) | 2020.11.19 |
人影橋下水(인영교하수)/황극회(명)-명시 감상 842 (0) | 2020.11.17 |
詠梅(영매)/성윤해(조선)-명시 감상 841 (0) | 2020.11.16 |
望江樓(망강루)/주응합(남송)-명시 감상 840 (0) | 202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