宿明月庵(숙명월암)
-명월암에 묵으며
西峰庵子竹林間(서봉암자죽림간) 서쪽 봉우리 암자는 대숲 사이에 있는데
無事居僧每閉關(무사거승매폐관) 일 없는 스님은 늘 문을 닫고 사네
宿客夜闌眠不得(숙객야란면부득) 나그네는 밤이 깊어도 잠 못 이루고
筧泉和月墮空山(견천화월타공산) 대통의 샘물은 달과 함께 빈산에 떨어지네 (번역 한상철)
閉關(폐관) : 닫아 걸다.
夜闌(야란) : 밤이 깊다.
筧泉(견천) : 대나무 홈통으로 끌어온 샘물.
墮(타) : 떨어지다.
* 홍세태(洪世泰 1653~1725); 조선 『유하집』을 저술한 시인.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도장(道長), 호는 창랑(滄浪)·유하(柳下). 아버지는 무관이었던 익하(翊夏)이며, 어머니는 강릉유씨(江陵劉氏)이다.(한국민족대배과사전)
* 다음카페 한시 속으로에서 인용 수정(2022. 7. 8)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君表自西林還城中以詩(군표자서림환성중이시)/공무중(북송)-명시 감상 1,867 (0) | 2022.07.11 |
---|---|
落花巖(락화암)/박태보(조선)-명시감상 1,866 (0) | 2022.07.11 |
舟中讀元九詩(주중독원구시)/백거이(당)-명시 감상 1,864 (0) | 2022.07.08 |
用韋蘇州寄全椒道士韻贈羅浮道士(용위소주기전초도사운증라부도사)/소과(북송)-명시 감상 1,863 (0) | 2022.07.08 |
次韻出省馬上有懷蔣穎叔(차운출성마상유회장영숙)/진관(북송)-명시 감상 1,862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