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명시 감상

十離詩 之一 犬離主(십잡시 지일 견리주)/설도(당)-명시 감상 727

한상철 2020. 9. 14. 11:31

十離詩 之一 犬離主(견리주)

-주인 잃은 개

 

             薛濤(설도)/당

馴擾朱門四五年(순요주문사오년) 주문에서 살아온 지 너 댓 해

毛香足淨主人憐(모향족정주인련) 털 향기 깨끗한 발로 사랑 듬뿍 받았지요

無端咬著親情客(무단교저친정객) 실없이 주인 손님께 달려들고 물어뜯어

不得紅絲毯上眠(부득홍사담상면) 비단 자리 담요에서 쫓겨나게 되었어요

 

* 朱門(주문) : 지위 높은 벼슬아치의 집, 부귀한 집을 비유. 임에게 버림받은 자신의 처지를 주인 잃은 개에 비유하여 슬픔을 표현하였다. 

* 十離詩十首(십리시십수) 이별노래 10편. 이 시는 시인이 남긴 작품 중 단연코 손꼽히는 작품으로,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접하는 사물인 개, , 앵무새, 제비, 구슬, 물고기, , , 거울 등을 제재로 하여 총 10편으로 구성되어있다. 10가지 소재에 자신의 버려진 신세를 빗대어 감정을 토로하였다, 시 한편, 구절 마다 작자의 서글픈 처지와 이별의 슬픔이 베여있다. 이 시는 원진에게 바쳐진 시라고 전해지는데, 원진과 시인이 서로 만남을 반복하면서, 한 때 관계가 멀어졌지만, 원진은 이 시를 읽고 감동하여 다시 두 사람의 관계가 좋아졌다고 한다.  

* 설도(薛濤 770? ~ 830?); 자는 홍도(洪度)이며, 원적은 장안(長安)이다. 당대의 문학사에서 여류시인을 언급할 때 설도라는 이름을 거론하지 않고는 논의할 수 없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8세에 이미 시를 짓고 읊을 줄 알았다. 그녀의 아버지는 일찍이 관리를 지낸 적이 있으나, 아버지가 죽은 후 의지할 곳이 없었던 설도는 16세에 기적(妓籍)에 들어갔다. 시적 재능과 미모를 겸비한 그녀는 명성이 날로 높아졌으며 사방으로 이름을 떨쳤고, 그녀를 찾아오는 문인들도 많았다. 설도가 알고 지낸 문인은 원진(元稹), 백거이(白居易), 유우석(劉禹錫) 등이 있었고, 관료나 장수들로는 위고(韋皐), 고숭문(高崇文) 20명이 넘는다. 뿐더러 당대에 유명한 문인, 관료, 처사 등 뭇 남성이 설도의 연인들이었다. 이들과의 교류는전당시(全唐詩)안에 수록된 여러 시인들의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당시에 서천 절도사(西川節度使)였던 위고(韋皐)는 그녀를 여교서(女校書)’라 칭하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무원형(武元衡)도 그녀의 문학적 재능을 높이 사서 교서랑(校書郞)이란 벼슬을 내려달라고 상부에 건의했으나, 기생이라는 신분으로 인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후대의 사람들이 기생을 교서라 부르게 된 까닭도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한다. 수 많은 남성들과의 교류 중 특히 원진과의 정은 각별했다고 하는데, 설도는 원진과의 실연의 마음을 노래한 훌륭한 시문을 지어내었다. 기적에서 나와 두보의 초당으로 유명한 성도의 완화계에 은거했을 시절에는, 붉은 색종이를 직접 만들어 그 종이에 직접 시를 써 문인들에게 헌상하기도 했는데, 이것을 설도전이라 이르며 당대에 크게 유행하였다. 만년에는 도교에 귀의하여 도사가 되어 여생을 마친다.

* 기적(妓籍) : 예전에, 기생으로 등록되어 있던 소속. 또는 기생들을 등록해 놓은 대장.

* 원진(元稹) : 중국 당나라의 문학가. 현실에 존재한 사실을 솔직하게 전달하여 이 시대의 정당성과 광명성을 남겨야 함을 주장했음. 대표 작품으로 60년 전쟁으로 고통을 받는 농가의 한을 쓴전가사, 상인들의 불로소득을 풍자한고객악)등이 있다.

* 백거이(白居易) : 중국 중당(中唐)의 시인. 작품 구성은 논리의 필연에 따르며, 주제는 보편적이어서 유려평이(流麗平易)’한 문학의 폭을 넓혀 당() 일대(一代)를 통하여 두드러진 개성을 형성했음. 주요 저술은장한가(長恨歌),비파행(琵琶行)등이 있다.

* 유우석(劉禹錫) : 중중당(中唐)의 시인. 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에 급제하여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 두우(杜佑)의 막료가 되었으나, 정치 개혁 실패로 낭주사마(朗州司馬), 연주자사(連州刺使)등으로 전직되고, 중앙과 지방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다. 주요 저서에는 유몽득문집(劉夢得文集),외집(外集)등이 있다.

* 다음카페 한시 속으로에서 인용 수정.(2020.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