歸舟過桐江晩風不順(귀주과동강만풍불순)
-동강을 지나 돌아가는 배는 저녁 바람이 고르지 않아
왕매(王邁/南宋)
長江渺渺雨濛濛(장강묘묘우몽몽) 장강은 아득하고 내리는 비 자욱한데
自在扁舟一葉中(자재편주일엽중) 한 척의 조각배 절로 자유롭네
欲識此行無可意(욕식차행무가의) 이번 행차가 내키지 않았음을 알고 싶다면
往來俱被打頭風(왕래구피타두풍) 오고 감에 모두 역풍을 맞아보시라
- 打頭風: 머리를 때리는 바람, 곧 역풍(逆風).
*다음블로그 청경우독 무하유지향에서 인용 수정(2021. 7. 27)
* 청대(淸代) 풍기(馮箕)의 <일엽편주(一葉扁舟)> 경심(鏡心) (1826年作, 設色紙本, 25×34cm)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次仲氏高原望高臺韻(차중씨고원망고대운)/허초희(조선)-명시 감상 1,335 (0) | 2021.07.29 |
---|---|
荷亭(하정)/서시면(명)-명시 감상 1,334 (0) | 2021.07.28 |
小言(소언)/장유(조선)-명시 감상 1,332 (0) | 2021.07.27 |
送趙麗卿(송조려경)/문징명(명)-명시 감상 1,331 (0) | 2021.07.26 |
京都(경도)/진화(고려)-명시 감상 1,330 (0) | 2021.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