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명시 감상

策杖尋隱士(책장심은사)/왕적(수말 당초)-명시 감상 1,276

한상철 2021. 6. 18. 19:19

策杖尋隱士(책장심은사)

 

     왕적(王績/隋末 唐初)

策杖尋隱士(책장심은사) 지팡이 짚고 은사 찾아가는데

行行路漸賖(행행로점사) 가고 가는 길 점점 멀어지네

石梁橫澗斷(석량횡간단) 돌다리는 물을 가로 질렀고

土室映山斜(토실영산사) 흙집은 산에 비스듬히 비치네

孝然縱有舎(효연종유사) 효심에 집이 있기는 했지만

威輦遂無家(위련수무가) 위련은 집을 갖지 않았네

置酒燒枯葉(치주소고엽) 시든 잎을 태워 술자리를 마련하고

披書坐落花(피서좌락화) 떨어진 꽃잎에 앉아 책을 읽지

新垂滋水釣(신수자수조) 불어 오른 물에 새로 낚싯대 드리우고 

舊結茂陵罝(구결무릉저) 무릉의 그물을 두고두고 기워 쓰네

歲歲長如此(세세장여차) 해가 바뀌어도 오래도록 이와 같으니

方知輕世華(방지경세화) 바야흐를 알겠노라 세상 영화 가벼이 여김을

 

- 威輦: 서진(西晉)시대의 은사 동경(董京). 그는 흰 띠로 지붕을 이은 집(白社)에 살았다고 한다.

- 置酒: 술자리를 벌임. 주연을 베풂.

- 披書: 책을 펼치다.

- 茂陵: 현재 섬서(陝西)성 흥평(興平)에 있는 지명(地名). 한무제(漢武帝) 유철(柳澈)의 능묘(陵墓).

- : 짐승을 잡을 때 쓰는 그물.

- 世華: 세속의 영화(榮華).

* 다음블로그 청경우독 해수 경해에서 인용 수정.(2021. 6. 18)

 

 * 남송(南宋) 유송년(劉松年)의 <책장방우도(策杖訪友圖)> 경심(鏡心) (絹本, 23×22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