鸚鵡洲(앵무주)
-앵무섬
이백/당
鸚鵡來過吳江水(앵무래과오강수) 앵무새가 오강에 날아왔다 간 일로 해서
江上洲傳鸚鵡名(강상주전앵무명) 강 위 모래섬은 앵무주란 이름으로 전해져오네
鸚鵡西飛隴山去(앵무서비롱산거) 앵무새는 서쪽으로 날아 농산으로 갔지만
芳洲之樹何靑靑(방주지수하청청) 싱그러운 모래섬 나무는 어찌도 푸르기만 한가
煙開蘭葉香風暖(연개란엽향풍난) 안개 걷히니 난초잎에 향기로운 바람은 따사롭고
岸夾桃花錦浪生(안협도화금랑생) 강기슭 복사꽃은 떨어져 비단 물결을 일으키네
遷客此時徒極目(천객차시도극목) 쫓겨난 나그네는 이 때 헛되이 멀리 바라보니
長洲孤月向誰明(장주고월향수명) 장주의 외로운 달은 누구를 향해 밝게 비추었든가 (번역 한상철)
* 鸚鵡는 崔顥 詩人을 比喩한 것으로 ‘말을 하는 새’라는 것을 들어, 그 의미를 차운한 것으로 보인다.
* 遷客; 추방된 사람을 일컫는 말.(指遭貶斥放逐之人)
* 長洲; 春秋시대 吳王 闔閭의 사냥터, 여기서는 長安의 宮闕을 말함.
* 다음카페 영일서단 고방서예자료 고방 님 인용 수정.(2021. 10. 21)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歲暮(세모)/백거이(당)-명시 감상 2,096 (0) | 2022.12.29 |
---|---|
贈王定國侍人寓娘(증왕정국시인우낭)/소식(송)-명시 감상 2,095 (3) | 2022.12.24 |
踰鐵嶺(유철령)/남룡익(조선)-명시 감상 2,093 (0) | 2022.12.20 |
子夜歌(자야가)/이안중(조선)-명시 감상 2,092 (2) | 2022.12.20 |
見稚女折花爲戲喜而有作(견유여절화위희희이유작)/신정(조선)-명시 감상 2,091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