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상가(河上歌)
同病相憐 (동병상련) 同憂相救 (동우상구); 같은 병은 서로 불쌍히 여겨, 근심은 한가지라 서로 구하려 들고,
驚翔之鳥 (경상지조) 相隨而飛 (상수이비); 놀라 나는 새는, 서로 따르며 날아가고,
瀨下之水 (뢰하지수) 因復俱流 (인부구류); 여울에 흐른 물은, 그로 인해 다시 함께 흐르네.
* 작자 미상 (이상 번역 한상철)
* 同病相憐(동병상련)의 유래;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엽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딱하게 여겨 동정하고 돕는다는 말.
同:한가지 동. 病:앓을 병. 相:서로 상. 憐:불쌍히 여길 련.
* 전국시대인 기원전 515년, 오(吳)나라의 공자 광(光)은 사촌 동생인 오왕 요(僚)를 시해한 뒤, 오왕 합려(闔閭)라 일컫고, 자객(刺客) 전저(專諸)를 천거하는 등 반란에 적극 협조한 오자서(伍子胥)를 중용했다.오자서는 7년 전 초나라의 태자 소부(太子少傅) 비무기(費無忌)의 모함으로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있던, 아버지와 역시 관리였던 맏형이 처형당하자, 복수의 화신이 되어 오나라로 피신해 온 망명객이었다. 그가 반란에 적극 협조한 것도 실은 유능한 광(합려)이 왕위에 오름으로써, 부형(父兄)의 원수를 갚을 수 있는 초나라 공략의 길이 열릴 것으로 믿었기 때문이다.그 해 또 비무기의 모함으로 아버지를 잃은 백비가 오나라로 피신해 오자, 오자서는 그를 오왕 합려에게 천거하여 대부(大夫) 벼슬에 오르게 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오자서는 대부 피리(被離)에게 힐난을 받았다. "백비의 눈길은 매와 같고 걸음걸이는 호랑이와 같으니[鷹視虎步], 이는 필시 살인할 악상(惡相)이오. 그런데 귀공은 무슨 까닭으로 그런 인물을 천거하였소?"
피리의 말이 끝나자 오자서는 이렇게 대답했다. "뭐 별다른 까닭은 없소이다. 하상가(河上歌)에도 동병상련(同病相憐) 동우상구(同憂相救)란 말이 있듯이,
나와 같은 처지에 있는 백비를 돕는 것은 인지상정(人之常情)이지요."그로부터 9년 후 합려가 초나라를 공략, 대승함으로써 오자서와 백비는 마침내 부형의 원수를 갚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 후 오자서는 불행히도 피리의 예언대로 월(越)나라에 매수된 백비의 모함에 빠져 분사(憤死)하고 말았다.
[주] 오자서 : 춘추 시대의 초(楚)나라 사람. 이름은 원(員). 초나라의 태자소부(太子少傅) 비무기(費無忌)의 모함으로, 아버지 오사(吳奢)와 형 오상(伍尙)이 초나라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하자 오나라로 망명함. 9년 후 오왕 합려를 도와 초나라의 도읍 영(潁)으로 쳐들어가, 평왕의 무덤을 파헤치고 시신을 꺼내어 300대나 매질하고 나서야 원한을 풀었다고 함.
[출전]오월춘추《吳越春秋》합려내전 <闔閭內傳〉- 출전은 다움 까페 '한시 속으로'에서 인용함.
* 참고; 고향 생각. 고시 19수 중, 行行重行行 시 제 7, 8구(고문진보에서)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오랑캐 말은 북풍을 그리워(의지)하고,
越鳥巢南枝(월조소남지); 월나라 새는 남쪽 가지에 둥지를 트네.
이 도장 돌에 제목은 붉은 글씨로 '河上歌'로 쓰여져 있는데, 그 내용은 실려 있지 않다.
'17.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곡의 소리 솔바람에 감돌고...북정(北征)/두보~ 명구(名句) 감상 (0) | 2012.05.18 |
---|---|
오! 어여쁘라! 숫 처녀!~정혜원해당(定惠院海棠)/소식(蘇軾).칠언고풍 (0) | 2012.04.24 |
인생은 한갖 봄꿈/매화로 진 소객(騷客)~송우달 문우 타계 (0) | 2012.03.16 |
푸른 바다를 바라보고(觀蒼海)... (0) | 2012.03.15 |
황금이 번쩍이다!~마나슬루의 웅자(雄姿)! (0) | 201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