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우후하당(雨後夏塘)
비갠 날 산속 연못 청천(晴天)이 내려와
날 세운 창포(菖蒲)잎 위 물잠자리 짝지으면
취음(翠陰)은 한지로 변해 청개구리 시 쓰네
* 물잠자리(Beautiful demoiselle, Calopteryx virgo); 실잠자리아목에 속하는 곤충이다. 유럽 및 극지방 및 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빠른 속도로 흐르는 물가에서 주로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투명한 색상의 날개를 갖고 있으나, 성충 수컷 물잠자리는 화려한 색상의 날개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위키 백과)
* 김광섭의 시 ‘비 개인 여름아침’에서 차운(次韻)-비 개인 날/ 맑은 하늘이 못 속에 내려와서/ 여름아침을 이루었으니/ 녹음이 종이가 되어/ 금붕어가 시를 쓴다.
* 단오절 세시풍속으로는 남자는 씨름. 여자는 그네타기. 석창포(石菖蒲) 잎을 삶은 물로 머리감기 등을 한다. 이 때가 지나면 쑥은 세져 먹지 못한다. 대신, 산에서 나는 우엉 잎 비슷하게 생긴 수리취(떡취)로 수리떡을 만들어 먹는다. 중국에서는 용주(龍舟)대회을 열고, 쭝즈(粽子)를 먹는다. 초의 충신 굴원(屈原)을 추모한데서 유래한 명절이다. 한편 춘제는 삼짇날, 추제는 중양절에 많이 지낸다.(2018. 6. 18 단오절 자료 추가)
* 졸저 『한국산악시조대전』 부제 산음가 산운 제3-47(503면). 2018. 6. 25 도서출판 수서원 발행.
'7.한국산악시조대전 부제 산음가 제7시조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산-산운 3-76 (0) | 2019.05.19 |
---|---|
산 그리고 인생-산운 3-67 (0) | 2019.05.18 |
엘부르즈 봉의 환희-외국산 4-5 (0) | 2019.03.27 |
융프라우-처녀-외국산 4-4 (0) | 2019.03.24 |
묀히-수도승-외국산 4-3 (0) | 2019.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