夢後寄歐陽永叔(몽후기구양영숙)
-꿈을 꾼 뒤 구양수에게 지어 보내다
梅堯臣(매요신)/송
不趁常參久(부진상참구) 대궐의 조회에 못 나간 지 오래지만
安眠向舊溪(안면향구계) 고향집에서 마음 놓고 편한 잠을 자고 있네
五更千里夢(오경천리몽) 동틀 무렵 꾼 꿈에 도성에서 그대를 보고
殘月一城鷄(잔월일성계) 깨어 보니 초승달 아래 새벽닭이 울고 있네
適往言猶在(적왕언유재) 잠에서 깬 뒤에도 그 목소리 쟁쟁하니
浮生理可齊(부생리가제) 꿈 같은 이내 삶은 득실이 나란하네
山王今已貴(산왕금이귀) 산도와 왕융 같이 지금 구양수는 귀하신 몸이나
肯聽竹禽啼(긍청죽금제) 이내 몸은 대숲에서 새들 노래나 들으리라
▶ 常參(상참): 날마다 조회朝會에 참여하는 관리를 가리킨다. 《신당서新唐書∙백관지百官志》에서 ‘文官五品以上及兩省供奉官, 監察御史, 員外郞, 太常博士, 日參, 號常參官(문관 5품 이상 및 양성의 공봉관, 감찰어사, 원외랑, 태상박사, 일참을 상참관이라고 불렀다).’이라고 했다.
▶ 舊溪(구계): 고향을 가리킨다. 매요신의 고향 선성宣城에는 동, 서 두 개의 시내가 있고, 매요신은 「東溪」란 시를 짓기도 했다.
▶ 五更(오경): 해가 진 뒤부터 동 틀 무렵까지의 시간을 다섯으로 나눈 것 가운데 맨 마지막 시각, 즉 동이 틀 무렵을 가리킨다.
▶ 殘月(잔월): 새벽녘에 나타난 둥글지 않은 달을 가리킨다. 유영柳永은 「雨霖鈴」이란 사詞에서 '楊柳岸, 曉風殘月(무서운 건 버드나무 늘어진 물가에서 새벽바람 맞으며 초승달 바라보는 것이네)'이라고 노래했다.
▶ 往(왕): 꿈 속에 도성으로 가서 구양수歐陽脩를 만난 것을 가리킨다. ‘適’은 ‘往’과 같다.
▶ 浮生(부생): 매요신이 자조적으로 말한 것으로 자신이 인생의 태반을 허비한 것을 가리킨다.
▶ 山王(산왕): ‘山’은 산도山濤를 가리키고 ‘王’은 왕융王戎을 가리키는데 두 사람 모두 진晉나라 때의 명사이며, 완적阮籍, 혜강嵆康 등과 함께 죽림칠현 竹林七賢으로 불렸다. 여기서 ‘山王’은 구양수歐陽脩를 가리킨다.
* 감상; 이 시를 지은 지화至和 2년(1055)에 매요신은 고향 선성宣城에서 모친의 시묘侍墓를 살고 있었다. 늦은 나이에 벼슬길로 나아가 태상박사太常博士로 있던 매요신이, 황우皇祐 5년(1052), 세상을 뜬 모친을 운구하여 고향으로 돌아간 지 3년째 되던 시기였다. 모친의 시묘를 끝낸 뒤 도성으로 돌아간 매요신은, 가우嘉佑 원년(1056)에 구양수와 조개趙槪의 연명 추천으로 국자감직강國子監直講이 되었다. 그러고 보면, 이 시는 구양수에게 추천을 희망하는 뜻을 담아 보낸 것으로, 읽을 수 있다.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過淸溪水作(과청계수작)/왕유(당)-명시 감상 2,127 (0) | 2023.02.12 |
---|---|
途中寒食(도중한식)/송지문(당)-명시 감상 2,126 (0) | 2023.02.12 |
梅花小幅(매화소폭)/김정희(조선)-명시 감상 2,124 (0) | 2023.02.09 |
遺愛寺(유애사)/백거이(당)-명시 감상 2,123 (0) | 2023.02.08 |
瀹湯詩(약탕시)/나대경(남송)-명시 감상 2,122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