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쉼터

신선기거법(神仙起居法)-양응식(오대십국)

한상철 2017. 5. 12. 06:53

神仙起居法


行住坐臥處(행주좌와처) 서 있을 때나, 머물르 때나, 앉아있을 때나, 누울 때나 

手摩脅與肚(수마협여토) 손을 사용해 갈비벼외 배를 문지른다.
心腹通快時(심복통쾌시) 심장과 배가 통쾌해지면

兩手腸下踞(양수장학거) 양손을 장에 대고 무릎을 꿇고 앉는다.
踞之徹膀腰(거지철방요) 꿇어앉아 주먹을 쥐어 허리 등을 문지르고

背拳摩腎部(배권마신부) 주먹을 뒤로 하여 콩팥부위를 문지른다.
才覺力倦來(재각력권래) 힘이 부치다 싶으면

即使家人助(즉사가인조) 즉시 가족의 도움을 받는다.
行之不厭頻(행지불염빈) 이처럼 단련하기를 실증을 내지 않고

晝夜無窮數(주야무궁수) 밤낮으로 셀 수 없이 반복하면
歲久積功成(세구적공성) 시간이 갈수록 내공이 쌓이고 건강해져서

漸入神仙路(점입신선로) 점점 신선의로 들어설 것이다.


주: 이것은 고대신선법으로, 요즈음 세상에도 따라하면 좋을 것이다. 풀이는 제3차 육잠스님 생'명불식전' 도록 제 42쪽에서 인용.(2017. 5.9~5.15 인사동 우림화랑)

* 양응식(凝式 873–954);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시대 중. 가장 뛰어난 서예가이다 . 초서가 단연 일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