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 산의 수리학(數理學)
산학(山學)이 수리인가 황금비율 따지게
물자 형(勿字 形) 좋다지만 뒤집으면 산 아녀
아무렴 경박단소(輕薄短小)로 인수분해(因數分解) 않겠지
* 산을 계량화 하지 마라! 어리석고 무의미한 짓이다. 경박단소(가볍고, 얇고, 짧고, 작은)는 사람은 좋아 할지 몰라도, 산은 좋아하지 않는다. 중후장대(重厚長大-무겁고, 두껍고, 길고, 큰)가 그의 본 모습이오, 모두가 좋아하는 바다.
* 황금비율; 주어진 길이를 가장 이상적으로 둘로 나누는 비(比)로, 근사값이 1.618..의 무리수(無理數)이다. 고대부터 건축 미술 등 예술분야 에 즐겨 응용되어왔다.
* 물(勿)자; 한자로 이 글자의 형국(形局)을 가진 산을 풍수학적 개념에서 좋은 산으로 본다. 이 글자는 ‘말다’, ‘말라’ 등 금지와 부정의 어조사로 무(無),막(莫)과 유사하게 쓰인다.
'5.선가(신선의 노래)·제4시조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89. 신상귀(慎桑龜) (0) | 2018.03.04 |
---|---|
88. 득선 6 (0) | 2018.03.03 |
86. 비익조(比翼鳥)가 된 산 (0) | 2018.03.01 |
85. 득선 5 (0) | 2018.02.28 |
84. 지난공안(至難公案) (0) | 2018.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