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스크랩 함

[스크랩] 주공공자도자기(周公孔子徒自欺)

한상철 2019. 1. 24. 09:15

당대(唐代) 화가 오도자(吳道子)<고사도(高士圖)> (75×134cm)

 

昨日之日不可追  今日之日須臾期

如此如此復如此  壯心死盡生鬢絲

秋風落葉客腸斷  不辦鬥酒開愁眉

賢名聖行甚辛苦  周公孔子徒自欺

(작일지일불가추 금일지일수유기

 여차여차부여차 장심사진생빈사

 추풍낙엽객장단 불판투주개수미

 현명성행심신고 주공공자도자기)


어제의 날은 따라잡을 수 없고

오늘의 날은 잠깐만을 기약하네

이러이러 또 이러

큰 뜻 다 스러지고 귀밑털만 생겼구나

가을바람에 낙엽 지니 길손은 애를 끊는데

술 시합에 애쓰지 않고 찌푸린 눈썹 푸네

성현의 명성과 행동은 몹시 어려운 것

주공과 공자가 다만 스스로를 속였음이라


노동(盧仝/), <탄작일(嘆昨日)> (三首其一)

- 須臾: 불교용어로 10-16에 해당하는 아주 짧은 시간. 참고로 순식간(瞬息間)이라고 할 때의 瞬息10-17, 찰나(刹那)10-19이다.

 

송대(宋代) 화가 이당(李唐)<高士圖> (設色絹本, 40.5×71cm)

 

남송(南宋) 화승(畵僧) 목계(牧谿)<高士圖> (水墨紙本, 103×35cm)

 

 

남송(南宋) 화가 유송년(劉松年)<高士圖> 경심(鏡心) (84×64cm)


유송년(劉松年)<高士圖> 경편(鏡片) (設色絹本, 27.5×24.5cm)


남송(南宋) 화가 하규(夏珪)<高士圖> 鏡心 (設色紙本, 65×29cm)

출처 : 청경우독(晴耕雨讀)
글쓴이 : 경화수월鏡花水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