長寧公主東莊侍宴(장녕공주동장시연)
-장녕공주의 동쪽 별장 잔치에 배석하여
李嶠(이교)/당
別業臨靑甸(별업임청전) 동쪽 교외에 별장을 마련하시니
鳴鑾降紫霄(명란강자소) 임금의 수레 방울소리 궁궐에서 내려오네
長筵鵷鷺集(장연원로집) 길게 펼쳐진 연회에 문무백관이 모여들고
仙管鳳凰調(선관봉황조) 선계의 음악소리는 그 바로 봉황조로다
樹接南山近(수접남산근) 나무숲은 종남산까지 이어졌고
煙含北渚遙(연함북저요) 자욱한 안개는 북쪽 위수까지 둘러 있도다
承恩咸已醉(승은함이취) 은덕을 입은 이들 이미 모두 취하여
戀賞未還鑣(련상미환표) 아름다움 감상하느라 말고삐 돌릴 줄 모르네
長寧公主(장녕공주) : 唐 中宗의 딸. 楊愼交 에게 시집 보내고 나서 중종이 장안 동쪽 교외에 공주를 위하여 큰 별장을 지어주었는데 그 비용이 엄청났었다 함.
별장이 완성되고 중종이 직접 임행하여 詩賦를 짓고 잔치를 자주 열었음.
別業(별업) : 별장의 다른 말. 별서
靑甸(청전) : 靑은 동방, 甸은 교외. 동쪽 교외를 말함.
鳴鑾(명란) : 말의 재갈 양쪽 끝에 묶은 방울 소리. 제왕이나 귀족의 수레를 뜻하는 말로 쓰임.
紫霄(자소) : 푸른 하늘. 여기서는 제왕이 거하는 궁궐을 가리킴.
鵷鷺(원로) : 원추리와 해오라기. 문무백관을 가르킴.
仙管(선관) : 통소의 별칭.
鳳凰調(봉황조) : 퉁소로 부는 음악을 말함.
南山(남산) : 장안 남쪽의 終南山.
北渚(북저) : 장안 북쪽의 渭水 가의 모래톱.
戀賞(연상) : 연연하여 감상 함.
還鑣(환표) : 고삐를 되돌림. 표는 말 입 재갈 끝에 물린 쇠의 양끝을 말함.
全唐詩에는 제목을 <侍宴長寧公主東莊應制>로 되어 있으며 中宗이 東莊에 행차하자 시인이 이 잔치에 배석하면서 지은 것이다.
* 이교(李嶠. 644-712) : 唐代 시인. 자는 巨山, 趙州 贊皇 사람이다. 당 太宗 貞觀 18년에 태어나 玄宗 開元 원년에 죽었다. 향년 70세. 어릴 때 才名이 있었으며 고종 麟德 연간에 진사에 올라 고종, 武后, 中宗, 현종 4조를 섬겼다. 蘇味道와 이름을 함께 하여 ‘蘇李’라 불렀으며 그 외 崔融, 杜審言과 함께 당시 ‘文章四友’로 불렸다. 명대 집일한 <李嶠集>이 있으며 <전당시>에 시5권이 수록되어 있다. <신.구당서>에 전이 있다.
* 이상 시와 자료는 다음카페 한시 속으로에서 인용함.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濟危寶(제위보)/이제현(고려)-명시 감상 401 (0) | 2020.01.09 |
---|---|
探梅(탐매)/왕미(명)-명시 감상 400 (0) | 2020.01.06 |
春夜別友人(춘야별우인)/진자앙-명시 감상 398 (0) | 2020.01.04 |
蓬萊三殿侍宴奉敕詠終南山(봉래삼전시연봉칙영종남산)/두심언(당)-명시 감상 397 (0) | 2020.01.03 |
幸蜀回至劍門(행촉회지검문)/당 현종-한시 감상 396 (0) | 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