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關秋思(동관추사)
-동쪽 관문에서의 가을 생각
柳夢寅(류몽인)
神仙富貴兩難諧(신선부귀량난해) 신선과 부하고 귀한 것 둘은 어울리기 어려운데
流水人間計較乖(류수인간계교괴) 인간 세상 흐르는 물이 어긋남을 견주어 살피네
金氣無端催歲暮(금기무단최세모) 무단한 가을 기운이 한 해가 저물기를 재촉하는데
白頭何事又天涯(백두하사우천애) 흰 머리는 어떤 일로 다시 아득한 하늘 끝에 닿는가
霜前歸燕謀行李(상전귀연모행리) 서리 내리기 전에 돌아가는 제비는 어디로 떠날 채비하고
草裏寒螿話別懷(초리한장화별회) 풀 속의 추운 애매미는 이별의 회포를 이야기하네
老洫焉知河海闊(로일언지하해활) 늙어 욕심이 넘치니 넓은 강과 바다가 어찌 알리오
大方羞殺井中蛙(대방수살정중와]) 우물 안 개구리처럼 식자에게는 대단히 부끄럽구나
行李[행리] : 길 가는데 쓰는 여러가지 물건이나 차림.
老洫[로일] : 늙어서 욕심이 넘침. 늙을수록 욕심이 더 심해진다는 뜻.
大方[대방] : 학문과 見識[견식]이 높은 사람, 박학한 사람, 識者[식자], 大方家[대방가].
羞殺[수살] : 羞死[수사], 대단히 부끄러움.
於于集 卷二[어우집 2권] 詩[시] 金剛錄[금강록] 柳夢寅[유몽인 : 1559-1623], 자는 應文[응문], 호는 於于堂[어우당], 艮齋[간재], 默好子[묵호자] 금강록○임술년(1622, 광해군14.
* 다음블로그 돌지둥님 인용 수정.(2021. 10. 21)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眉公秘笈(미공비급)/진계유(명)-명시 감상 1,549 (0) | 2021.10.22 |
---|---|
昏鏡詞(혼경사)/유우석(당)-명시 감상 1,548 (0) | 2021.10.21 |
偶成(우성)/권필(조선)-명시 감상 1,546 (0) | 2021.10.21 |
商山四皓(상산사호)/왕학(중국 근대)-명시 감상 1,545 (0) | 2021.10.21 |
野菊(야국)/왕건(당)-명시 감상 1,544 (0) | 2021.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