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상사곡(相思曲)
두 물은 살을 섞어 절경수향(絶景 水鄕) 빚어내나
두 봉은 상거(相拒)하여 그리움이 애절하다
사랑가 메아리 칠때 빈객(賓客) 시름 더하고
* 예빈산(禮賓山 590m); 경기도 남양주시. 직녀봉(주봉)과 견우봉(589m)이 240m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두 물은 북한강과 남한강의 합수점(양수리)인데, 두 강은 각각 남자와 여자를 상징한다. 수향 양수리 (두물머리)는 남한 제일의 산수경을 자랑한다. 직녀봉은 빈(賓) 즉 귀한 손님을 뜻하고, 견우봉은 객(客) 즉 보통 손님을 뜻하나, 이 시에서는 둘 다 등산객이 될 수도 있다.
* 위 시조는 퇴임한 원로 국문학자 이상보 박사가 필자에게 책을 받은 답례로, "시상이 좋다" 며 족자용 한글서예를 했다.
* 졸저 산시조집<山窓>에서
'3.산창·산악시조 제2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마이산(馬耳山) 정경 (0) | 2006.05.24 |
---|---|
14. 월산실록 (0) | 2006.05.12 |
12. 기(氣)를 뺏긴 삿갓봉 (0) | 2006.04.26 |
11. 산의 물구나무 (0) | 2006.04.21 |
10. 겨울 아미산(峨眉山) (0) | 2006.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