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산의 물구나무
-강 위에 비친 가을 산
물고기 튀었거늘 강 위를 굽어보니
온 붉게 타는 산이 거꾸로 박힐세라
저 잉어 얼 솟지 마라 물이 성을 내노라
* 낚시질하며 뜻을 얻는 것이 어찌 물고기에 있으랴! 득의기재어(得意豈在魚) 왕빈지의 난정시에서.
* 2019. 1. 28 종장 전구 수정.(저 고기 얼튀지 마라)
* 잉어가 튀어 파문(波紋)이 일면, 도립한 산의 반영(反影)도 흐트러지고, 따라서 내 마음도 흔들린다.
* 정수류심 심수무성(靜水流深 深水無聲); 고요한 물은 깊이 흐르고, 깊은 물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
* 졸저 산악시조 제2집 『山窓』 제32면. 2002. 9. 10 ㈜도서출판 삶과꿈 발행.
'3.산창·산악시조 제2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상사곡(相思曲) (0) | 2006.05.03 |
---|---|
12. 기(氣)를 뺏긴 삿갓봉 (0) | 2006.04.26 |
10. 겨울 아미산(峨眉山) (0) | 2006.04.19 |
9. 건방 떤 산매 (0) | 2006.04.14 |
8. 수양산(首陽山)의 기개 (0) | 2006.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