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억지는 곤란
꾀꼬리 두들겨 패 강제로 울게 하면
꽃보라 눈을 가려 고운 임 달아나고
참외가 익기도 전에 꼭지 먼저 떨어져
* 꾀꼬리소리가 아름답다고 해서 억지로 두들겨 깨워 나뭇가지 위에서 울게 하지 말라! 그새가 울면 모처럼의 즐거운 꿈이 깨, 님 계신 요서 땅에 못 가게 된다네. 타기황앵아(打起黃鶯兒) 막교지상제(莫敎枝上啼). 무명씨 이주가(伊州歌) 2에서(당시선-중국고전명언사전 866쪽).
* 과숙체락(瓜熟蒂落); 오이(참외)가 익으면, 꼭지는 자연히 떨어진다(채근담).
* 일과 사랑에는 순서와 시기가 있다. 억지를 쓰거나 서두르면 노린 바를 그르치게 된다.
* 졸저 『仙歌』(선가–신선의 노래) 제 4시조집 99면. 2009. 7. 30 ㈜도서출판 삶과꿈.
* 짙은 여름숲. 사진은 다음카페 삼산 사랑방 운영자가 이 메일로 보내옴.(2017. 2. 17)
'5.선가(신선의 노래)·제4시조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78.반야창 (0) | 2018.02.20 |
---|---|
77.득선 4 (0) | 2018.02.19 |
75. 산이 나에게 2 (0) | 2018.02.17 |
74. 산이 나에게 1 (0) | 2018.02.16 |
73. 금낭화-후생(後生)의 노래 36수 (0) | 2018.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