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 공(空)을 베다
물에 들어가도 젖지 않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아
칼끝은 석화(石火)처럼 춘풍(春風)을 자르지만
애당초 공(空)이었으니 참수(斬首) 한들 어떠리
* 진인(眞人)의 경지에 도달하면 물속에 들어가도 몸이 젖는 일이 없고, 불속에 들어가도 타는 일이 없다. 입수불유(入水不濡) 입화불열(入火不熱)-장자 내편 대종사.
* 번개처럼 빠르고 날카롭게 내목을 치려 한다. 그러나 그것은 봄바람을 칼로 베려 하는 것과 같은 짓이다. 베어도 베어지지 않는다. 원래부터 내 몸을 공(空)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까닭에서이다. 원나라 군사가 예리한 칼날을 '조원 스님'에게 들이대자, 조원이 태연히 읊은 시다. <珍重大元三尺劍> 전광영리참춘풍(電光影裏斬春風)-조원 게(祖元 偈) 명언사전 1,332쪽.
* 석화; '몹시 빠르고 짧음' 또는, '제행무상(諸行無常)'을 비유하여 이름.
* 풍도 복수초꽃. 사진 다음카페 우리 주변의 진솔한 사진. 태허공 님 제공. (2018. 3. 17)
'5.선가(신선의 노래)·제4시조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4. 금강초롱꽃 보시 (0) | 2018.03.19 |
---|---|
103. 득도한 바위에게 (0) | 2018.03.18 |
101. 한산장송(寒山葬送) (0) | 2018.03.16 |
100. 탐춘(探春) (0) | 2018.03.15 |
99. 부득심(不得心) (0) | 2018.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