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 금강초롱꽃 보시
미투리 닳았어도 정강말은 튼실하이
마음이 가난한 자 청산 하나 보시(布施) 코저
벼랑 위 금강초롱에다 빈자일등(貧者一燈) 켰나니
* 빈자일등; 가난한 사람이 쪼들리는 생활 속에서도 어렵게 돈을 마련하여 정성껏 부처님에게 바치는 등불 하나. 현우경(賢愚經) 빈녀난타품(貧女難陀品).
* 금강초롱; 경기, 강원 지방의 깊은 산속에서 피는 우리나라 특산종의 꽃. 엷은 보라색을 띠는 청초하기 그지없는 이 지상에서 가장 고귀한 꽃으로 칭송하고 싶다. 절벽 끝에 핀 모습은 은장도를 품은 청상마냥 절조 있고 단아함 기품이다.
* 졸저 『한국산악시조대전』 산운 제3-88번 ‘전등이 된 금강초롱꽃’ 시조 참조.
* 졸저 제4시조집 『선가』(신선의 노래)에서.
* 금강초롱꽃.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에서 인용.
'5.선가(신선의 노래)·제4시조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6. 설죽(雪竹) (0) | 2018.03.21 |
---|---|
105. 탄장승(嘆長栍) (0) | 2018.03.20 |
103. 득도한 바위에게 (0) | 2018.03.18 |
102. 공(空)을 베다 (0) | 2018.03.17 |
101. 한산장송(寒山葬送) (0) | 2018.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