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스크랩 함

[스크랩] 우연즉종운종룡(遇緣卽宗雲從龍)

한상철 2019. 1. 2. 06:33

청말근대 화가 김몽석(金夢石)<풍호운룡(風虎雲龍)> () (149×38cm)

 

遇緣卽宗雲從龍

隨處作主風從虎

大地撮來無寸土

倒嶽傾湫  興雲致雨

(우연즉종운종룡

 수처작주풍종호

 대지촬래무촌토

 도악경추  흥운치우)

 

연분을 만나면 종지 되니 구름이 용을 따르고

이르는 곳마다 주인 되니 바람이 범을 좇으며

온 대지를 움켜쥐니 손바닥만 한 땅도 없도다

큰 산을 뒤집어엎고 못을 기울이며

구름을 일으키고 비를 내리네

 

무문혜개(無門慧開/南宋), <게송(偈頌)> (八十七首其二十二)

 

- 遇緣卽宗: 연분을 만나면 바로 으뜸 교의(宗旨)가 된다는 뜻.

 

화엄경(華嚴經)`우연즉시 이연즉적`(遇緣卽施 離緣卽寂)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나라 때의 선승인 황벽희운(黃檗希運) 스님은 전심법요(傳心法要)에서 `우연즉시 연식즉적`(遇緣卽施 緣息卽寂)이라 했다.

 

연분을 만나면 베풀고, 연분이 다하면 고요하고 평온해진다는 뜻이리라.

 

- 隨處作主: 이르는 곳마다 주인이 되다. "어떤 상황과 조건에서도 주체적인 삶을 살다"라는 뜻이다.

 

黃檗希運의 법사(法嗣)인 임제의현(臨濟義玄) 스님은 임제록(臨濟錄)에서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이라 했다.

 

이르는 곳마다 주체적인 삶을 살면 서 있는 곳이 모두 참이라는 것이다.

 

- 운종룡풍종호(雲從龍風從虎): 뜻과 마음이 맞는 사람들끼리 구하고 좇음을 비유적으로 이를 때 쓰는 말이다.

 

주역(周易)에 나오는 동성상응(同聲相應동기상구(同氣相求)와 일맥상통하는 말이랄까.

 

- 大地撮來無寸土: 華嚴經<십지품(十地品)>에 "三界無別法 唯是一心作 若人識得心 大地無寸土"(삼계무별법 유시일심작 약인식득심 대지무촌토)라는 구절이 나온다.

 

"삼계에 따로 법이 없으니, 이것은 오직 마음의 지음(작용)일 뿐이다. 만약 사람이 마음을 알아 이해한다면, 대지에 한 줌 흙도 없으리라"는 뜻이다.

 

청말근대 화가 장선자(張善孖)<風虎雲龍> 경심(鏡心) (1923年作, 設色紙本, 31×85cm)

 

장선자(張善孖)<風虎雲龍> 선면(扇面) (1934年作, 設色紙本, 17.5×51cm)

 

장선자(張善孖)<風虎雲龍> 扇面 (1936年作, 設色紙本, 18×48cm)

 

장선자(張善孖)<風虎雲龍> 성선(成扇) (1932年作, 設色紙本, 19×51cm)

 

장선자(張善孖)<風虎雲龍> 成扇 (1936年作, 設色紙本, 18.5×50cm)

 

장선자(張善孖)<風虎雲龍> (1935年作, 設色紙本, 132×66cm)

 

장선자(張善孖)<風虎雲龍> (設色紙本, 132×65cm)

 

장선자(張善孖)<風虎雲龍> (設色紙本, 93×35cm)

출처 : 청경우독(晴耕雨讀)
글쓴이 : 경화수월鏡花水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