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從行(자종행)
-스스로 따른 노래
이몽양(李夢陽/明)
自從天傾西北頭(자종천경서북두) 하늘은 스스로 서북쪽으로 기울고
天下之水皆東流(천하지수개동류) 천하의 물은 모두 동쪽으로 흐르네
苦言世事無轉倒(고언세사무전도) 세상일에 쓴 소리하니 뒤바뀜이 없고
竊鉤者誅竊國侯(절구자주절국후) 허리띠 고리 훔친 자는 죽임을 당하지만 나라를 훔친 자는 제후가 되지
君不見(군불견) 그대는 보지 못 하였는가
奸雄惡少椎肥牛(간웅악소추비우) 간사한 영웅과 불량한 아이가 살찐 소 잡는 것을
董生著書翻見收(동생저서번견수) 동중서는 책을 썼지만 뒤집은 견해를 거두었고
鴻鵠不如黃雀啅(홍곡불여황작탁) 큰 기러기와 고니는 참새의 지저귐만 같지 않음을
盗蹠之徒笑孔丘(도척지도소공구) 도척의 무리가 공자를 비웃으니
我今何言君且休(아금하언군차휴) 내 지금 그대에게 무슨 말을 하고 그만 두겠는가
- 自從: 스스로 따름, 스스로 복종함. ∼ 이래(부터, 에서).
- 竊鉤: 彼竊鉤者誅 竊國者爲諸侯(피절구자주, 절국자위제후)라는 말이 있다. "허리띠 고리를 훔친 자는 목이 달아나지만, 나라를 훔친 자는 제후가 된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거협편(胠篋篇)>에 나온다.
- 惡少: 불량소년.
- 董生: 서한(西漢) 때의 유학자 동중서(董仲舒). 천인감응론(天人感應論)에 입각해 ≪재이지기(災異之記)≫라는 책을 지었다. 사람의 잘못이 결국 천재지변을 부른다는 경고(災異說)를 담은 저술이다. 나중에 조정에 대한 불만을 풍자했다 하여, 천자로부터 죄를 받고 일절 재이(災異)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 - 盗蹠之徒笑孔丘: ☞ http://blog.daum.net/songchen/2596583 참조.
* 다음블로그 청경우독에서 인용 수정(2020. 12. 9)
* 청대(淸代) 임훈(任薰)의 <화조(花鳥)> 대병(對屛) (設色絹本, 37×46cm×2)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野歸鹿門歌(야귀녹문가)/맹호연 (당)-명시 감상 878 (0) | 2020.12.10 |
---|---|
彭澤(팽택)/왕준(당)-명시감상 877 (0) | 2020.12.10 |
題壁(제벽)/최수성(조선)-명시 감상 875 (0) | 2020.12.09 |
黃鶴亭(황학정) 柱聯(주련)/서민호(한국 현대)-명시 감상 874 (0) | 2020.12.09 |
苦熱絶句(고열절구)/고린(명)-명시 감상 873 (0) | 2020.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