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사진

추색미염(秋色未染)/반산 한상철

한상철 2024. 10. 6. 10:38

추색미염(秋色未染)-가을 빛은 아직 물들지 않다.

2024. 10. 5(토). 개이고, 낮은 덥다. 10:00~전철 제5호선 아차산역 제2번 출구에서, 김기오, 박동렬 씨와 함께 어제에 이어 아차산 둘레길을 걷다. 환절기라 3일 전부터 근육통이 생겨 기상(起牀)과 거동이 불편하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어려움을 무릅쓰고 동참한다. 산은 단풍이 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필자의 요청으로 보행거리를 줄인다. 12:20~ 아차산 손두부집에서 두부전골로 점심을 먹다. 이 집은 6개월만에 찾는다. 식대를 현찰로 지급하면, 약 5% 정도 할인해준다. 유효 보행 약 6,000보. 약 2; 20 소요. 16,000원 추렴. 식후 5호선 종로3가역으로 이동해, 1호선 종각역 11번 출구까지 걸어가, 15:00~ 통일빌딩 3층 문화공간 '온'에서 열리는, 한국고서연구회 10월례회에 30분 일찍 참석한다. 30분 듣다가, 피로가 겹쳐 살며시 귀가한다. "왜 나는 바보처럼 책에 갇혀 사는가" 최진용(장서가) 발표. 20여명 참가.

* 딸은 일찍 와 혼자서 자개장롱 2개(종)를 마저 반출했다.

* 10. 6(일) 행사: 한국문인산악회 발족 제36주년 기념.11:00~우이동. 고단해 불참.

* 졸작 산악시조 한 수

81. 폭포 앞에서

때 이른 소슬바람 단잠을 깨려 들고

암반 위 개옻나무 붉은 고름 달 때쯤

낙수성(落水聲) 흩어질까 봐 객이 홀로 우노니

 

* 수락산(水落山 637.7m); 서울특별시 노원구. 어떤 폭포 앞에서 단상(斷想).

* 수락의 전고; 수락은 '水落石出'에서 따왔다. 최초는 구양수(歐陽脩)의 취옹정기(醉翁亭記)에 나온다. "수위가 떨어져. 바닥의 돌이 드러나다". 다음은 소식(蘇軾)의 명문 후적벽부(後赤壁賦)에 보인다. "강물은 줄어져 돌이 드러나다". 추사 김정희는 '수락석출'을 "무상(無上)의 묘체(妙諦)"로 극찬하였다. 서거정의 친구인 매월당 김시습도 그의 시 '水落寺'로 노래했다.(한국산서회 조장빈 자료 발췌)

* 김시습의 명시 한 수 소개한다. (2024. 3. 10 추가)

水落殘照(수락잔조)

-수락산의 저녁 노을

一點二點落霞外(일점이점락하외) 한 점 두 점 노을은 밖으로 멀어지고

三介四介孤鶩歸(삼개사개고목귀) 서너 마리 외로운 따오기는 돌아가네

峯高剩見半山影(봉고잉견반산영) 봉우리 높아 덤으로 보니 반은그림자인데

水落欲露靑苔磯(수락욕로청태기) 물 떨어져 드러나니 여울 돌 이끼 푸르네

去雁低回不能度(거안저회부능도) 가는 기러기는 낮게 맴돌아 건너지 못하고

寒鴉欲棲還驚飛(한아욕서환경비) 찬 갈가마귀 깃들려다 외려 놀라 난다네

天涯極目意何限(천애극목의하한) 하늘 끝 눈길이 다해 어찌나 한스러운지

斂紅倒景搖晴暉(렴홍도경요청휘) 붉게 물든 그림자는 맑게 빛나 흔들리네(번역 한상철)

* 수락산은 여러차례 각각 다른 코스로 다녀왔는데도, 진작 지은 시조는 이 시조 뿐이다.

* 이 시조는 조선일보 월간 《山》후원, 한국산서회 주관 제7차 인문산행(2017. 9. 2 수락산) 자료로 제공했다.

* 졸저 『探梅』 정격시조 선집 ‘수락팔경’-속명승보 23(112~118면) 참고. 2023. 9. 20 도서출판 수서원.

* 졸저 산악시조 제1집 『山中問答』 제106, 164 쪽. 2001. 6. 10 ㈜ 도서출판 삶과꿈.

----

frente a la cascada

Una brisa prematura rompe mi dulce sueño

Cuando el árbol de hiedra venenosa en el lecho de roca es rojo,

El invitado llora solo, temeroso de que el agua que cae se esparza

* 2024. 10. 6 서반어 번역기.

데크 길 옆 바위 쉼터에서. 김기오 촬영.
 
 

 

한국고서연구회 2024.10월례회 독사진. 문회공간 온에서. 이경기 이사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