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명시 감상

代贈(대증)/이상은(당)-명시 감상 948

한상철 2021. 1. 17. 08:04

代贈(대증)-二首

-대신 보내다 

 

        李商隱이상은

(其一)

樓上黃昏欲望休(루상황혼욕망휴) 해질녘 누각에 올라 먼 데를 보려다 그치는데

玉梯橫絶月中鉤(옥제횡절월중구) 화려한 계단은 끊어지고 달은 이지러지네(갈고리)

芭蕉不展丁香結(파초부전정향결) 파초는 잎 못 펴나(돌돌 말려 있어) 정향은 꽃봉오리 맺혀

同向春風各自愁(동향춘풍각자수) 같은 봄바람을 맞으면서도 따로 시름에 잠기네

 

(其二)

東南日出照高樓(동남일출조고루) 동남 쪽에서 뜬 해가 높은 누각을 비출 때

樓上離人唱石州(루상이인창석주) 누각 위에 떠나는  사람은 이별노래 부르네

總把春山掃眉黛(총파춘산소미대) 모든 걸 다 쥔 봄 산(여인)은 눈썹을 지워보지만

不知供得幾多愁(부지공득기다수) 시름이 얼마나 더 하는지는  알 수 없다네  (번역 한상철)

 

* 玉梯(옥제): 부귀한 사람의 집 누각의 화려한 계단(층계). ‘玉梯橫絶은 두 사람이 서로 떨어져 만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다.

* 欲望休(욕망휴): ‘望欲休로 쓴 자료도 있다.

* 月中鉤(월중구): 둥근 달(滿月)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月如鉤로 쓴 자료도 있다.

* 芭蕉(파초): 식물 이름. 중국이 원산이 품종이 여럿이다. 관상용이지만 약재로도 쓰인다.

* 丁香(정향): 나무 이름. 꽃봉오리를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한다.

* 石州(석주): 고악부 곡명 석주사石州詞를 가리킨다. 변방에서 군역을 치르는 남편을 그리워하는 아내의 수심을 노래한 곡이다.

* 眉黛(미대): 고대에 여인들이 눈썹을 그리는데 사용하던 청흑색 안료. 여인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기도 한다.

[출처] 이상은 - 대증2수|작성자 들돌 네이버블로그 인용 수정함( 2014.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