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와 처치시 환자의 현상과, 생존 기대수치를 함께 고려해야!
인간이 너무 흔하다 보니, 죽음 조차 아무런 가치가 없다!
인생무상! 제행무상!
2023. 2, 15(수) 개이고, 오후는 영상 온도. 오늘은 행사가 겹친데다, 몸 상태가 그다지 좋지 않아 집에서 쉬면서, 2023. 2. 17(금) 07:30~ 열릴 한강포럼 제333차 자료(소식지)를 보고, '대형병원의 의료행위와, 시신을 대하는 태도' 등에 대한 소감을 서두(序頭)로 요약해본다. 16;30 경 창포원에서 간단히 운동한 후, 7호선 노원역 4번 출구와 연결된 롯데백화점에 들러, 상품권으로 6,000원 조금 넘는 포도주 2병과 탁주1병을 사다. 귀로에 수락산 사진을 찍다.
* 2. 15 불참 행사
1. 15:00~17;00 (사) 서울문화사학회 2023. 2월 강의- '북한 핵위협과 우리의 안보태세' 박준근 예비역 중장(전 육군사관학교장) 발표. 덕성여대 평생교육원.
2. 17:00~19:;00 운룡역사포럼 제 116차 강의- '스마트 폰의 다양한 기능 활용방안' 75인치 대형 tv 화상 이용. 임춘봉 한국정보통신대학교 교수. 운룡도서관.
3. 19:00~한국여성산악회 제10회 음악회. 양정산악회 ob 김명수 회원 출연. 종로구민회관(창신동). 입장료 30,000원. 중1/2은 서울산악동우회에서 지원함.
* 졸작 풍치시조 유양팔경(양주팔경) 중 제8경 정격 단시조 한 수
제8경 수락귀운(水落歸雲)
피리 분 목동 앞에 청풍(淸風)이 어른대자
간들댄 솔방울은 흰 소 등위 툭 떨어져
외로운 뭉게구름만 수락으로 돌아가
* 제8경도 풍경을 읊었지만, 실은 선시조(禪時調)에 가깝다. 여기서 목동은 수행자이고, 청풍과 솔방울은 공안(公案, 또는 話頭)으로 비유한다. 흰 소는 찾아낸 진리를 뜻한다. 덧없는 인생의 뜬구름〔浮雲〕도 제자리로 돌아가고...
* 게재일 현재 지상 미발표작.
한강포럼 고 임홍빈 회원 미망인 최정희 여사의 특별기고문. 제7면
한강포럼 2023. 2월(제333차) 소식지 제1면.
수락산. 왼편이 정상부다. 구름이 없다! 줌을 당기다.
'19.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서연구 제40호 출판기념 및 정기총회 외 (0) | 2023.02.19 |
---|---|
국민과 함께 한 58년-국이회 소식 (0) | 2023.02.17 |
춘계압유(春溪鴨遊)-청계천 걷기 (0) | 2023.02.11 |
차회-(사) 국어고전문화원 (0) | 2023.02.09 |
(사) 한국시조협회 2023년 정기총회 (0) | 202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