舞鶴引(무학인)
-학이 춤추는 가락
반산 한상철
群來北方鶴(군래북방학); 북쪽에서 날아온 두루미 떼
遊戱雪泥畓(유희설니답); 눈 내린 진흙 논에 유유히 놀다
乘興一齊舞(승흥일제무); 흥에 겨워 다 같이 춤추니
隔溪紫霞落(격계자하락); 개울 건너 보라 노을 지는 듯하네
* 압운; 畓 落
* 제 4구 '자하'는 춤추는 학 그 자체로 봐도 좋고, 따로 보아도 좋다.
* 제 2구 '설니'(雪泥)는 소동파의 시 화자유민지회구(和子由澠池懷舊) 중, 설니홍조(雪泥鴻爪)를 인용.
* 제 4구 '격계'(隔溪)는 옹조(翁照/청)의 시 매화오좌월(梅花塢坐月)에서 인용.
주; 백촌거사의 권고에 따라, 제 3구 취흥(醉興)을 승흥(乘興)으로 수정하며, 풀이도 보완한다.(2015. 03. 20).
乘興은 동진(東晉) 때의 유명한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다섯 번 째 아들 왕휘지(王徽之)의 글에서 나왔다.
人問其故 王曰 "吾本乘興而行 興盡而返 何必見戴"(인문기고 왕왈 오본승흥이행 흥진이반 하필견대)
사람들이 그 까닭을 물으니, 왕은 이렇게 대답했다. "흥에 겨워 갔다가 흥이 다해 돌아오는데, 굳이 만날 필요가 있겠는가". 절창이다.
출처; ≪세설신어(世說新語)≫(下卷上) <임탄(任誕)>/≪예문유취(藝文類聚≫(卷二) <천부하·설(天部下·雪)>.
* 학무. 사진은 다음 블로그 청곡에서 인용(2015.03.06)
'9.북창·한시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남교반/한상철~아지랑이 피네-오언절구 1-63 (0) | 2015.03.12 |
---|---|
극락조/한상철~묘한 곡조로-오언절구 1-61 (0) | 2015.03.07 |
이명고/한상철~굴을 팔 수록-오언절구 1-60 (0) | 2015.02.04 |
포구폐선/한상철~그리움을 실어- 오언절구 1-59 (0) | 2015.02.01 |
정송이사/한상철 ~제 뿌리를 쳐들고-오언절구 1-58 (0) | 201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