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득선 3
졸음을 잡으려고 부메랑 던진 바람
떨어진 눈꺼풀은 차나무로 자라는데
족제비 방귀소리에 바위산이 우르르
* 얼마나 용맹정진 해야 족제비 방귀소리를 들을 수 있고, 바위산(疑團-의문덩어리)을 무너뜨릴 수 있을까? 육이(肉耳)로 듣지 말고 마음의 귀(心耳)로 들어라!
* 맞다! 귀신 쫓는 부적은 있어도, 졸음 쫓는 부적은 없다! 좌선을 하지만, 그 지긋지긋하게 덤벼오는 잠귀신은 천하 없는 부처도 쫓아내지 못한다. “쉭쉭” 부메랑은 그믐달이랴? 눈꺼풀 그 것이랴?
* “차나무는 달마가 졸음을 쫓기 위해 베어버린 눈꺼풀에서 태어났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차 한 잔에 담은 중국의 역사’ 25쪽, 강판권 저)
* 천상. 사진 다음 블로그 빛이 만든세상. 파울루스 주경( 제1,245번, 2017. 10 16)
'5.선가(신선의 노래)·제4시조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68. 자운영 (0) | 2018.02.10 |
---|---|
67. 방하착(放下着) (0) | 2017.10.17 |
65. 지음(知音) (0) | 2017.10.17 |
64. 산사야정(山寺夜情) (0) | 2017.10.17 |
63. 득선 2 (0) | 2017.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