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十夾山答佛頌(제십협산답불송)
투자의청(投子義靑/北宋)
親言言處幾人知(친언언처기인지) 친절히 당체(그 곳)를 말해주지만 몇이나 알까
今古無儔類莫齊(금고무주류막제) 예나 지금이나 견줄 이 없고 한결같지 않네
玉馬雪行歸半夜(옥마설행귀반야) 좋은 말이 눈 속을 다니다가 한밤에 돌아오니
羚羊掛角月沈西(영양괘각월침서) 영양은 뿔을 걸고 달은 서쪽으로 잠기네
- 言處: 말하고자 하는 그 곳(當體).
- 無儔: 비할(견줄) 자 없다(無比).
- 玉馬: 아름다운 말(美馬).
- 羚羊掛角: 영양이 밤에 잘 때 나뭇가지에 뿔을 걸어서 위험을 막는다는 뜻, 곧 자취를 찾을 수 없음. 문학에서 모든 것을 초탈하여 자유분방한 시의 세계를 일컫기도 한다.
* 다음블로그 청경우독 해수 경해에서 인용 수정.(2021. 1. 13)
* 근현대 중국화가 황환오 ( 黃幻吾 ) 의 < 영양 ( 羚羊 )> ( 紙本 , 106×38cm)
'14.명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古風(고풍) 악부시 제 47수/이백(당)-명시 감상 939 (0) | 2021.01.13 |
---|---|
詠庭前梨樹(영정전이수)/한익항(조선)-명시 감상 938 (0) | 2021.01.13 |
雪裏山茶(설리산다)/장유(조선)-명시 감상 936 (0) | 2021.01.12 |
望湖樓醉書(망호루취서)/소식(북송)-명시 감상 935 (0) | 2021.01.12 |
與盧員外象過崔處士興宗林亭(여로원외상과최처사흥종림정)/왕유(당)-명시 감상 934 (0)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