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안나푸르나 라운드(외원)를 트레킹 중인 한국인 여성 사망.
2022. 1. 17(화) 기온은 내려가고, 국내외적으로 분위기가 밝지 않는 데다. 달갑지 않은 소식이 들어온다. 필자는 山人이기에, 관심 있는 분야를 유심히 살펴본다.
" 네팔 교민 소식통에 의하면, 위 종주의 절정인 소롱 라에서, 2023. 1. 16(현지 날짜) 한국인 여성 50대 김 모 씨가 고산병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가이드 없이 혼자 트레킹 했다 "(뉴스 발췌)
* 필자는 22여년 전인 1999.10.28~10. 28 까지 20박 21일정으로, 네팔 안나푸르나 라운드를 트레킹 하고, 기록을 남겨두었다. 회고 삼아, 졸작 해외산악 정격 단시조 한 수 올린다.
31. 준령(峻嶺) 소롱 라-禪詩
구름재 높고 험해 다람쥐도 오보일식(五步一息)
몽롱한 마루턱엔 타루초 펄럭이나
수갑 찬 살불(殺佛) 죄인이 포승줄에 묶여가
* 네팔 말로 고개(패스-pass)를 ‘라’(la)라 한다. 소롱 라(Thorong La)는 외원 코스 중 가장 고도가 높은 5,416m로 트레킹의 백미(白眉)라 할 수 있다. 무척 힘든 만큼 추억도 많은 곳이니, 고산병에 유의하여야 한다. 보통은 고개 밑 소롱 페디(Thorong Pedi)에서 고소 적응을 위해 하룻밤 정도 묵는다.
* 오보일식; 다섯 발 딛고 한번 쉼. 그 만큼 힘들다는 뜻.(다람쥐는 실제로 살지 못함)
* 타루쵸; 티베트 불교의 경구를 새겨 넣은 아래위로 긴 네모꼴 깃발. 고개를 넘으면 알 수 없는 마력에 빨려들어 몽롱해진다.
* 살불살조(殺佛殺祖)!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라! 임제의현(臨濟 義玄 당?~867)의 사자후다. 즉, “관념이 진리의 접근에 방해된다면 과감히 제거하라” 라는 뜻이다.
* 고개마루에 오름 쯤 필자도 몹시 졸려 비몽사몽(非夢似夢)간이다. 꾹 참고 걸어가야지 그대로 주저앉으면 죽는다. 마침 똥이 마려워 변을 봐야하는데, 마땅한 장소가 없다. 겨우 엉덩이만 가릴 수 있는 돌이 하나 있기에, 그 뒤에서 볼일을 마쳤다. 덕분에 동력을 되찾아 계속 운행할 수 있었다. 인솔자 '임형운' 형이 2023. 1. 17(화) 오후 3시경 전화로 기억을 상기시켜줌.(주석 추가)
* 졸저 『山情無限』 세계산악시조집(2) 53면. 2016. 5. 10 도서출판 수서원.
'19.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공(時空)은 영원한데, 인연은 짧다-경복궁 견학 (0) | 2023.01.29 |
---|---|
도봉산의 광풍제월(光風霽月)-계묘년 설 연휴 (0) | 2023.01.23 |
이우보인(以友輔仁)과 도봉 설경 (0) | 2023.01.16 |
깊어가는 겨울-공원 산책/교우이신(交友以信) (0) | 2023.01.15 |
신년 산행과 교례회-(사)한국산악회 2023년 (0) | 2023.01.14 |